철도파업 일주일 만에 노사합의
철도 노사가 11일 오후 임금교섭에 잠정합의다. 철도노조가 지난 5일 전면파업한 지 일주일 만이다.

철도노조(위원장 최명호)와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이날 오후 3시35분께 잠정합의를 도출했다. 노사는 코레일 서울본부에서 10일 오전 10시 실무교섭을 시작해 본교섭을 거쳐 다시 실무교섭으로 전환하는 등 30시간의 마라톤 협상 끝에 의견접근에 성공했다. 노조는 이날 오후 7시부터 파업을 중단하고 현장에 복귀했다. 이날부터 조합원을 대상으로 잠정합의안에 대한 찬반투표를 시작했다.

전동열차는 12일 첫차부터 모두 정상 운행하고, KTX와 무궁화호 등 간선 여객열차는 단계적으로 정상화한다.

노사는 공기업 예산운용지침에 따라 2024년 임금을 기본급 대비 2.5% 이내 인상하는 데 합의했다. 당초 사측은 재원이 없다며 동결을 고수했다. 이번 잠정합의에서 미사용 연차를 이월해서라도 최대한 소진해 연차수당 지급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재원을 마련하자는 데 노사는 뜻을 모았다. 노조가 요구했던 4조2교대 근무는 국토교통부의 승인을 받아 빠른 시일 내에 시행하기로 했다.

핵심쟁점 중 하나였던 체불 성과급 지급과 관련해서는 국회 국토교통위원장의 중재로 내년에 정부가 참여하는 연구용역을 통해 해결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철도공사는 당초 정기상여금(연 기본급 300%)을 산입한 월 기본급을 바탕으로 경영성과평과급을 지급하다 기획재정부와 감사원 지적에 따라 올해 성과급 지급기준을 기본급의 88%로 정했다. 노조는 나머지 12%에 해당하는 231억원을 체불임금이라고 주장해 왔다.

노사는 신규노선에 필요한 안전인력 충원도 합의했다. 다만 구체적인 충원 수준은 과제로 남았다. 노조 관계자는 “파업을 조속히 끝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어 노사가 서로 조금씩 양보했다”며 “인력 충원과 운전실 내 CCTV 설치 문제 등은 과제로 남았다”고 설명했다.

철도공사가 2015년 근속승진제를 없애면서 인사위원회 전횡을 막기 위해 합의한 승진포인트제도도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최명호 위원장은 “철도파업을 지지해 주신 많은 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노사 잠정합의에 이를 수 있도록 적극 중재에 나선 국회에도 감사를 표한다”며 “사측의 억지와 불통, 권력 공백기에 멈춰선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와 같은 난관을 철도노동자의 힘으로 극복했다”고 밝혔다.

정소희 기자 sohee@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