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산업전환으로 10년 뒤 고용 13.9% 줄어
디지털 산업전환이 적극적으로 도입·활용되면 고용규모가 5년 뒤에는 8.5%, 10년 뒤에는 13.9%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을 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산업현장에서 디지털 전환 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2일 디지털 전환(자동화 및 AI)이 산업과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디지털 기반 기술혁신과 인력수요 구조 변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디지털 전환으로 영향을 미치는 산업과 인력수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개 업종 1천700개 사업체와 업계 전문가 300명을 조사했다.
제조업은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을, 서비스업은 업무 편의성 개선과 소비자 편익 증진을 위해 디지털 혁신·전환을 활용하고 있다. 앞으로 고용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디지털 전환 기술은 인공지능(AI)으로 분석됐다. 실제 현재 AI 기술을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는 응답 비중이 18.3%로 나타났다. 산업현장에서 이미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는 뜻으로 보인다.
디지털 기술혁신과 산업전환이 도입되고 활용될 경우 고용규모 감소도 예상됐다. 앞으로 5년 뒤에는 8.5%, 10년 뒤에는 13.9%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음식숙박업은 2028년에 14.7% 줄고, 운수·물류업은 2035년에는 21.9%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기술 도입은 직무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직과 공학기술직에 보완·도움을 준다는 응답이 74.2%였고, 자동화 영향을 받는 ‘설치·정비·생산직’을 대체할 것이라는 응답이 63.3%로 높게 나타났다.
챗지피티(Chat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 도입으로 모든 직업에서 노동력 대체 등 고용구조 변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숙련도가 필요한 전문가와 대면 업무가 주를 이루는 서비스직은 대체 가능성이 낮을 것(21~40%)으로 예측됐다. 사무종사자·판매종사자·장치기계조립·단순노무 직군은 대체 가능성이 높을 것(61~80%)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연구진은 “디지털 전환이 산업·직업·직무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산업과 고용구조 변화에 대응한 제도와 정책이 요구된다”며 “직무 변환과 산업구조 전환에 대비한 직무 재교육 및 훈련, 유휴인력 지원책을 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정남 기자 jjn@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