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전환 시기’ 기업 10곳 중 8곳 ‘경력직’ 선호
올해 상반기 채용시장에서 기업들은 신입보다 경력직을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자와 기업 간 연봉 기대치 차이도 뚜렷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4일 ‘상반기 채용시장 특징과 시사점 조사’를 발표했다. 대한상의가 현재까지 민간 채용 플랫폼에 올라온 채용공고 14만4천181건을 분석한 결과, 경력 채용만을 원하는 기업은 82%에 달했다. 신입 또는 경력을 원하는 기업은 15.4%, 신입 직원만을 채용하는 곳은 2.6%에 불과했다.
이 같은 경향은 대졸 청년 구직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한상의가 실시한 ‘대졸 청년 취업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53.9%가 취업의 가장 큰 장벽으로 ‘경력 중심 채용’을 꼽았고, 33.5%는 ‘인사 적체로 인한 신규 채용 여력 부족’을 지적했다.
구직자·구인기업 간 연봉 미스매치(불일치) 현상도 주목된다. 올해 상반기 대졸 청년 구직자의 희망연봉 수준은 평균 4천23만원으로 나타났다. 신입을 원하는 구인기업 채용공고상 평균 연봉 수준 3천708만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대한상의는 새로운 국제질서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산업 전환 속에서 기업들이 경력직이나 ‘중고 신입’을 선호하게 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종명 산업혁신본부장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기업을 끌어들일 파격적인 규제 혁신, 과감한 인센티브, 글로벌 정주 여건, AI 인프라 등을 조성해 기업을 유인하고 민간 주도형 글로벌 도시에서 청년들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터전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용준 기자 go@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