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60.8% “미국 관세 직·간접 영향”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6곳은 미국의 관세 인상 영향권에 있다고 인식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월21일~3월7일 전국 제조업체 2천107곳을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묻는 조사를 실시한 결과 60.3%가 직·간접적 영향에 노출돼 있다고 응답했다.

직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14%, 간접 영향권에 있다는 응답은 46.3%다. 미국 관세와 무관하다는 응답은 39.1%로 나타났다.

영향권에 놓였다는 기업을 살펴보면 24.3%가 부품·원자재를 미국에 수출하는 기업이다. 미국에 완제품을 수출하는 업체는 21.7%로 나타났고 △중국, 멕시코, 캐나다 제외한 3국 수출기업 및 내수기업 17.9% △부품·원자재 미국 수출기업 14.2% △부품·원자재 중국 수출기업 13.8% △멕시코·캐나다 수출기업 8.1%다.

업종별로는 배터리 84.6%, 자동차·부품 81.3%가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반도체 69.6% △의료정밀 69.2% △전기장비 67.2% △기계장비 66.3% △전자·통신 65.4% 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는 “미국에 진출한 우리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많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직·간접적 영향권 격차에 따라 걱정은 달랐다. 전반적으로 납품물량 감소(47.2%)과 수익성 악화(24%) 우려가 컸지만 직접 영향권에 놓였다고 응답한 완제품 대미 수출기업은 납품물량 감소(25%) 우려보다 수익성 악화(35.8%) 우려가 컸다.

대응은 관세 동향 모니터링(45.5%) 수준에 머물렀다. 다만 관세 동향 모니터링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각 46.4%와 44.8%로 대동소이 했지만 대응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대기업 4.4%, 중소기업 24.2%로 차이를 보였다.

이재 기자 jael@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