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8.1% “주 4일제 도입 필요”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주 4일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정 근로시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응답은 66.8%로 더 높았다.
주4일제네트워크는 지난달 10~17일 직장인 1천명을 대상으로 주4일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도입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58.1%,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41.9%로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150만원 이하 저소득층도 찬성 53.8%
임금수준별 응답에서도 모두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존에는 저소득층은 임금 하락을 우려해 주 4일제에 반대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번 조사에서는 월평균 급여 150만원 미만과 500만원 이상 등 모든 임금 구간에서 찬성이 53.8~63.5%로 높았다. 다만 150만원 미만 저소득층은 주 4일제 도입 반대가 46.2%로 500만원 이상 반대 36.5%와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 살펴보면 여성의 찬성 비율이 61.5%로 남성(55.3%)보다 높았다. 나이별로는 50대에서 유일하게 반대가 53.9%로 찬성(46.1%)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기타 직종의 도입 반대 비율이 51.2%로 찬성 48.8%보다 근소하게 높았지만, 표본이 41명으로 큰 의미를 두긴 어려워 보인다.
눈에 띄는 대목은 일주일 법정노동시간 단축을 묻는 질문에는 고용형태별 파견용역·사내하청을 제외한 모두 법정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응답한 점이다. 파견용역·사내하청의 경우 법정노동시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응답이 33.3%로 반대 66.7%보다 낮았지만 표본이 3명으로 작았다.
김종진 일하는센터시민연구소·유니온센터 이사장은 “주 4일제 도입을 사업일수 단축으로 오인하는 사례도 여전히 있다”면서 “노동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그 방법론으로 사업일수를 단축하냐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는 사업일수가 아니라 조업일수를 단축하는 것으로, 교대근무 등으로 사업일수를 유지할 수 있지만 직관적으로는 “공공기관·은행이 금요일에 문을 닫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의미다.
“포괄임금제부터 폐지” 지적도
주 4일제 도입과 관련해서는 앞선 조사들에서 꾸준히 찬성률이 높게 나타나지만 다소 하락세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엠브레인리서치와 함께 2023년 9월 실시한 조사에서 주 4일제 도입 찬성 비율은 61.4%를 나타냈고, 이듬해인 2024년 1월 조사에서는 67.3%까지 올랐다. 이후 같은해 8월 조사에서 63.2%로, 이번 조사에서는 58.1%로 감소했다.
주 4일제 도입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졌다기보다 다양한 노동시간 단축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차휴가를 연간 15일에서 20일 또는 25일로 확대하자는 방안에 대한 찬성률은 같은 조사를 기준으로 2023년 9월 74.6%에서 이번 조사에서는 75.5%로 상승했다. 법정 노동시간을 단축해야 한다는 응답도 62.4%에서 66.8%로 늘었고, 주당 연장근로 한도를 줄여야 한다는 응답 역시 61.4%에서 68.9%로 증가했다. 응답자의 노동환경이나 근무특성에 따라 노동시간 단축 방법을 다양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들은 노동시간 단축을 위해 포괄임금제를 폐지해야 한다는 요구도 했다. 4점 척도로 조사한 객관식 질문이 아닌 주관식 응답에서다. 33세 경기도 중견규모 제조 사업장에서 일한다는 한 응답자는 “입사 후 계약서 작성시 포괄임금제라고 제시 후 회사 내 간부진의 강압적 야근 강요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며 “주 1~2회 필요에 의해 1~2시간 야근을 할 수 있으나 강압적으로 매일 최소 2시간 이상씩 야근을 강요해 밤 8~9시에 퇴근하게 만들거나 실적 압박 등 강제 야근을 종용하고 포괄임금제라는 변명으로 어떤 보상도 주지 않는 것부터 변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재 기자 jael@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