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찾은 김문수 전 장관 “업종별 근로시간 규제 완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재계를 찾아 청년 일자리와 유연한 근로시간을 강조했다. 국민의힘이 발표한 주 4.5일 근무제도 일률 규제라며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김 전 장관은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한국경총을 방문해 손경식 경총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을 만나 20여분간 청년일자리 대책과 기업투자를 중점으로 이야기를 나눴다. 경총 부회장단인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과 이장한 종근당 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이동근 경총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김 전 장관은 청년 일자리 문제를 거듭 강조했다. 그는 “올해 청년 쉬었음 인구가 54만명이나 되는데 이들이 일자리가 없어서 그냥 쉬고 언제 취업할지도 모른다”며 “취업을 안 하면 결혼도 못 하고 결혼을 못 하니까 그 다음 것은 물을 것도 없이 어려운 처지에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 기업은 전부 관세를 피해 미국으로 투자하려고 하는데 그러면 우리 청년은 어디서 취업하느냐”며 “보통 문제가 아닌데 손 회장이 좋은 방향을 제시할까 싶어서 왔다”고 말했다.

손 회장은 “그렇지 않아도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에 공장을 지으라고 압박하고 있어 우리 청년들은 어디서 일을 하느냐”며 “미국 법인이 고용해 주지 않을까 하는 말도 있지만 걱정이다”라고 답했다.

기업 투자와 관련한 이야기도 나눴다. 김 전 장관이 “기업이 투자를 해 줘야지 투자를 안 하고 미국을 가느냐”고 말하자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은 “투자할 만한 여건이 어렵다”는 취지로 답했다.

김 전 장관은 환담 뒤 기자들과 만나 업종별 노동시간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김 전 장관은 국민의힘이 전날 강조한 주 4.5일제 공약에 대해 “노동시간을 법으로 일률적으로 정하는 것은 이제 그만하자”며 “접객을 주로 하는 호텔업 같은 업종은 4일은 9시간 일하고 하루는 4시간만 일하라고 하면 (업종 특성과)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우리나라가 반도체뿐 아니라 인공지능과 양자기술 같은 기술을 강화해 미래를 현재 상태를 돌파해야 하는데 무조건 집중해서 일하는 것을 못하게 한다면 말이 안 된다”며 “노란봉투법이나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 정년연장 등 규제를 일률적으로 하면 업종별로 맞지 않는 특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재 기자 jael@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