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사업장 2만6천곳 불시 점검·감독
정부가 안전관리 취약 사업장을 매주 불시점검하는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가 본격 가동됐다. 전국 2만6천곳을 대상으로 전담 감독관을 지정해 상시 연락체계를 구축해 산업재해에 발 빠르게 대응하기로 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은 23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48개 지방노동관서장과 회의를 열고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취임 첫날인 전날 국무회의에서 안전한 일터 프로젝트 가동을 언급한 뒤 경기 남양주 건설공사 현장을 사전 예고 없이 점검에 나섰다.

해당 프로젝트는 전국 고위험 사업장과 건설현장 2만6천곳을 감독관이 대대적으로 불시 점검·감독에 나서는 게 핵심이다. 기존 산업안전보건감독관 600여명과 긴급 투입된 300여명의 안전보건공단 인력까지 총 900여명이 2인1조로 투입된다. 전국 고위험사업장별 전담 감독관을 지정해 사업장 대표 또는 안전관리자와 상시 연락체계를 구축해 현장을 밀착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점검 내용은 5대 중대재해(추락, 끼임, 부딪힘, 화재·폭발, 질식) 및 폭염 분야 12대 핵심안전 수칙 준수 여부다. 지난해 사고사망자 589명 중 추락 227명(38.5%), 끼임 66명(11.2%), 부딪힘 50명(8.5%)으로 후진국형 사고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노동부는 핵심 안전수칙 준수만으로 이러한 사고를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안전수칙 위반 적발시 즉각 시정토록 하고 미이행시 엄단할 방침이다.

김영훈 장관은 “정부는 노동자 안전과 생명을 도외시 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예외와 관용 없이 법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할 것”이라며 “이는 반기업이 아니라, 산업재해를 근절하기 위한 국가의 당연한 책무임을 인식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태안화력발전소 사망사고와 인천 맨홀 사망사고를 언급하며 “사업장의 위험요인과 개선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협력업체 노동자의 의견을 수용하고 협력업체의 안전관리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달라”고 강조했다.

어고은 기자 ago@labortoday.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 매일노동뉴스(http://www.labortoday.co.kr)